news logo


구글 맵스 유료 운영 정책 변경

 

 

 그동안 무료로 사용하던 구글지도의 무료사용 범위가 축소됐습니다. 웹 기반으로 관련 시스템과 서비스를 구축한 프로젝트의 대응이 필요해졌습니다. 이번 달 11일부터 구글의 가격정책 개편으로 웹용 구글지도 무료사용 조건이 까다로워졌습니다. 키를 발급받지 않았거나 클라이언트ID를 갖지 않고 있는 프로젝트들은 무료로 쓰기 힘들게 됐습니다. 유료로 사용해왔던 부분들도 역시 비용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글은 유/무료를 나눴던 가격 체계를 유료로 단일화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기존 구글맵스 API를 ‘구글맵스플랫폼’이라는 단일 브랜드로 통합하고, API 18종을 지도/경로/장소 3그룹의 제품으로 구성했습니다.

 앱 개발자와 웹 개발자들은 그동안 구글 API를 활용해 위치정보, 경로탐색, 관련 응용 서비스를 간편하게 구축해왔습니다. 물론 그동안 100% 무료는 아니었지만 대다수 개발자들은 구글 계정 등록 후 구글 맵 API키를 발급받아 일정량을 무료로 사용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및 iOS 모바일 앱 개발에 구글 지도를 사용할 땐 돈이 들지 않았습니다. 두 모바일 플랫폼용 구글 API는 무제한 무료였기 때문입니다. 또 ‘구글 플레이스’ API는 무료 요청건수가 1일 1천 건이고 신용카드 유효성 검사 시 이를 15만 건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었습니다. 그 외 웹기반 서비스에 쓰이는 API들도 하루 2500건, 신용카드 유효성 검사 시 15만 건을 무료로 제공해왔습니다. 하지만 바뀐 정책이 적용되면 구글지도를 API키 없이 사용할 수 없게 됐습니다. 모든 프로젝트는 유효한 API키가 필요하게 되었고, API키 또는 클라이언트ID를 포함하지 않은 구글지도 엑세스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 변화는 주로 웹페이지 및 웹서비스용 API사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구글은 여론을 의식한 듯 무료 지원 정책도 내놓았습니다. 구글은 “개발자에게 200달러 어치의 월간 무료 사용권을 제공한다”며 “대부분의 사업자는 매월 무료 이용권만으로 사업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벤처비트에 따르면 구글은 현재 구글 지도 고객 98%가 한달에 200달러씩 제공되는 무료티어에 속한다고 계산하고 있습니다. 무료티어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량 범위

무료 사용량

모바일 정적/동적 지도

무제한 로드

정적지도

최대 100,000회

동적지도

최대 28,500회

길찾기/거리행렬/도로정보

최대 40,000회

고급 길찾기/거리행렬

최대 20,000회

지오코딩/위치정보

최대 40,000회

 

 구글 맵스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구글 계정이 필요하며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구글 맵스 플랫폼의 시작하기를 누르면 사용설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필요한 서비스(Maps/Routes/Places)를 선택 후 프로젝트를 선택 하고, 결제수단을 등록하게 되면 카드가 유효한 카드인지 확인하는 1달러가 결제되며 결제된 금액은 추후 취소처리가 됩니다. 이 단계를 지나면 구글 맵스 플랫폼 API가 사용 설정되며 구현을 위한 API키를 생성하여 화면에 보여주게 됩니다. 개발자들은 해당 키를 발급받아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구글API를 사용하면 됩니다.

또한 API 사용현황을 대쉬보드로 제공하여 사용중인 API의 스냅샷, 총 트래픽 및 오류율, 청구 및 지원 옵션등을 제공합니다.

 

 

 사내 구글API를 이용하여 서비스한 프로젝트에 대해서 담당 개발자들의 확인이 필요한 실정이며, 추후 구글API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개발할 경우에 위 내용을 숙지하여 프로젝트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해야하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React 소개

 

 React란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에서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기 위해 만든 오픈 javascript 라이브러리 입니다. React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집중하며, Virtual DOM을 사용해 편의성과 속도를 높이고,

실시간 데이터를 표출하는 큰규모의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React의 특징으로는 표출을 단순하게 만들어 가시성과 사용성을 높이며, 데이터가 변할 때 자동으로 모든 UI를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사용성이 높으며, Virtual DOM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변할 때 바뀐 부분만 새로고침 할 수 있습니다. JSX(JavaScript XML)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단방향 데이터플로우를 지원하여 위에서 아래로만 데이터가 흐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데이터 흐름을 이해하여야 하는점이 있습니다.

 

 

 SAP(Single Page Application)가 인기를 얻으면서 한 페이지에서 재 렌더링 없이 DOM객체, Ajax 데이터 통신, 데이터 바인딩을 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기술이 발전했습니다. 그 중심에 Angular와 Backbone등이 있고 데이터를 받아와 기존 데이터와 비교하여 전체 DOM 객체를 비동기

갱신으로 재 렌더링 없이 사용자 경험을 향상했습니다. 그런데 전체 DOM 갱신에는 처리 시간이 늦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React는 이 부분을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소한의 요소만 변경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React를 웹서비스에서 접근하는 방식도 있지만, 안드로이드 또는 IOS에서 React를 사용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React Native는 React의 접근 방법을 모바일로 확장하는 페이스북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입니다. 기존의 모바일 자바스크립트 툴들이 웹뷰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었다면 리액트 네이티브는 자바스크립트로 작업하지만 인터페이스는 네이티브 위젯으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리액트 네이티브는 네이티브 UI를 통해서 이질감 없고 쾌적한 사용감을 보여줍니다.

 

 

 React의 특징으로 인해 우리 제이비티에서는 SI성향의 개발이 많이 때문에 실무 적용에는 맞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장기 프로젝트나 솔루션 개념의 프로

젝트를 진행할 때 사용한다면 코드 관리에 좋다고 생각됩니다.

 

[강추기사모음] 이 기사 보셨나요?

 

 이 코너에서는 함께 공유하면 좋을만한 기사들을 선정해 보았습니다. 기사 제목을 선택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잘 알려지지 않은 기사중에서 다른 직원들과 나누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 뉴스레터 편집실로 알려 주세요.

 

≫ '오픈소스 사냥꾼' MS, 어떻게 깃허브 인수했나 (출처:ZDNet Korea/2018.6.5.)

 

≫ 멀쩡한 코드가 프로덕션만 가면 느려지는 5가지 이유와 해결 방법 (출처:IT World/2018.6.4.)

 

≫ "인터넷의 모든 것을 위한 검색엔진", 쇼단의 정의와 작동 원리 (출처:IT World/2018.6.4.)

≫ IDG 블로그 | PaaS 사망 선고…IaaS가 더 나은 개발 환경 제공 (출처:IT World/2018.6.4.)

 

≫ '블록체인, 서비스로 쓰세요'··· 아마존도 BaaS 시장에 합류 (출처:CIO Korea/2018.6.4.)

 

≫ 구글지도 무료사용 범위 축소된다 (출처:ZDNet Korea/2018.6.11.)

 

≫ '제조와 IT의 만남'···디지털 트윈 기술이 주목 받는 이유 (출처:IT World/2018.6.14.)

 

≫ IT 개발자를 위한 글쓰기 가이드 (출처:CIO Korea/2018.6.18.)

 

≫ “경영진 앞에서 떨지 말 것” 개발자를 위한 프레젠테이션 성공 법칙 (출처:IT World/2018.6.25.)